per로 주식투자 하는법(낮은 PER 의미)
주식 투자에서 PER(Price-to-Earnings Ratio)은 매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전문 투자자중에서도 대놓고 PER만 가지고 투자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입니다.
도데체 이 PER이 뭐길래 주식 투자좀 한다는 사람부터
어제 오늘 입문한 주린이들까지 PER PER 하는 것일까요?
그래서 오늘은 주식투자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재무재표 분석의 꽃인 PER의 뜻과
의미 그리고 주식투자시 PER을 고려 할 때 주의 할 점 등
PER의 모든 것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의 뜻 , 의미
PER은 주식의 가격을 기업의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상당히 강력한 도구입니다.
per값은 Price Earning Ratio 의 약자로
우리나라 말고 야후 파이낸스 같은 해외
주가 정보 제공 사이트에서는 P/E Ratio 라고 표기 됩니다.
per = 시가총액 / 순이익
P/E Ratio 는 조금더 쉽게 설명하면
기업가치를 회사가 버는 이윤으로 나눈 값입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특정 회사 주식의 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당기 순이익은 결산 방법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1년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회사의 시가총액 (현재의 주가*주식수)를
1년 이익으로 나눈 값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현재 회사의 주가에 발행 주식수를 곱하 값이지요.
이런 이유 때문에 Per값이 10이면 1년 이익으로 10년을 벌어야 한다.
100이면 1년치 이익으로 100년을 벌어야 하는 값이라고
흔히들 소개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또 다르게 표현하면 PER 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는 값입니다.
표현은 조금씩 달라도 모두 같은 말입니다.
주당순이익은 EPS 라고 불리는
EPS는 당기 순이익을 주식숫자로 나는 것을 말합니다.
말 그대로 주식1개가 내는 순익을 말합니다.
EPS 도 투자하기 좋은 회사를 가리는 매우 중요한 지표중 하나입니다.
기업 재무 분석 요소중에서는 거의 1티어 급으로
PER값과 함께 매우 중요한 지표로 쓰입니다.
아래 예시를 통해 PER값을
주식 투자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회사 A와 회사 B가 주식 시장에
상장된 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두 회사의 주가와 순이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 회사 A: 주가 $100, 순이익 $10
- 회사 B: 주가 $50, 순이익 $5
먼저, PER값을 계산하여 두 회사의 가치를
비교해보겠습니다.
PER값은 주가를 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회사 A의 PER: $100 / $10 = 10
- 회사 B의 PER: $50 / $5 = 10
이 결과, 회사 A와 회사 B의 PER값이
모두 10이 나왔습니다.
PER값이 동일하다는 것은 시장이 두 회사의 가치를
동등하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er의 진짜 뜻, 낮은 per 좋고 높은 per 나쁜건가?
이제 per로 알아보는 진짜 의미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PER이 10이라고 가정하면
순이익으로 시가총액을 사려면 현재 순이익이
지금보다 10배 더 커져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낮은 per은 회사가 버는 돈에 비해서
아직 주가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투자 하기 좋은 시그널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per가 100이 넘는
높은 per 고 per은 무슨 의미일까요
현재의 수익으로 회사를 사려면
100년은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한마디로 현재 주식가격에 비해서 버는 돈은
작다는 이야기 입니다.
한때 성장주로 열풍을 일으켰던
테슬라의 경우는 per가 1600을
넘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사실, 낮은 per로 투자를 하는 사람 입장에선
테슬라 같은 고 per 회사의 주식은
절대로 투자 할 수 없는 기업이지만
그래도 테슬라의 수익이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하고 수익도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리라고 판단한 사람들은
테슬라 같은 성장주를 매수할때
높은 per을 고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런 성장주들은
per값을 고려하면 도저히 투자할 수 없는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높은 per , 낮은 Per 기준은?
PER에 대한 기준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20-30 이상이면 주식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높은 PER을 가진 주식으로
간주하고 고평가되다고 판단하는 사람들도 있고
50까지는 괜찮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보통 20 이상이면
높다고 보는 시각이 더 많습니다.
보통 주식이 하락해서 PER이 10 이하거나
20이하로 내려갔을때는
투자하기 좋은 시점이라고 판단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per이 높다고
반드시 안 좋은 것도 아닙니다.
혹은 시장에서 회사에 대한
기대치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보통 시장에서 회사에 대한 미래 기대가 높으면
많은 돈이 몰리고,
주식 가격을 상승시키게 됩니다.
반대로, 낮은 PER을 가진 주식은
저평가되었거나 시장에서
기대치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A의 PER이 10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
주식 투자자는 B의 주가가
순이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평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투자자는 회사 B의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향후 기대 수익이나 기업의 잠재 성장 가능성에 따라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지만,
PER은 분명히 회사의 가치를 평가를 진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PER 투자시 주의사항
PER을 활용할 때에는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PER은 단순히 가격과
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기업의 특정 상황을 고려하지는 않습니다.
다른 측면을 함께 고려하며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시가총액이 작은 기업의 경우에는
per 수치가 시기에 따라서 크게
요동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per은 회사의 시가총액과
이익만을 고려하는 지표일뿐
회사의 잉여금이나 부채, 부채의 비율같은
회사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주지 않으므로
단순히 per을 가지고 무조건 저평가 주라고
생각하고 가진 돈을 모두 몰빵하는 식의
투자에 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PER은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비교 대상이 되는 기업 간에
산업 구조와 경쟁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있게 지켜보는 성장주 섹터
예를 들면 ,
전기자동차, 2차전지 , 반도체 ,
AI 같은 업종의 기업의 경우에는
평균 per이 식음료 같은 섹터보다
높은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1-2개 회사의 정보만 보고 투자를
결정하기 보다는, 투자하려는 종목고 섹터 전체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주식 투자 시 PER을 활용할 때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요점을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업종 간 비교의 제한성: PER은 기업의 상대적인 가치 평가를 위해 사용되지만, 업종 간에 PER이 다를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산업은 성장률, 이익 구조, 경쟁 상황 등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한 PER 비교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업종 특성을 고려하여 PER을 분석하고 비교해야 합니다.
- 재무 상태와 성장 전망 고려: PER은 단순히 주가와 이익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러나 PER은 기업의 재무 상태, 성장 전망, 산업 동향 등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PER을 사용할 때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 수익성, 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 일시적인 요소의 고려: PER은 주가와 최신 재무 정보를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주가나 이익이 일시적으로 왜곡될 수 있는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재무 성과에 일시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나 비정상적인 이벤트가 있는 경우, 단기적인 PER 변동은 장기적인 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비교 대상의 선정: PER을 활용할 때는 비교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슷한 산업, 규모, 성장률 등을 갖는 기업들끼리 비교해야 신뢰성 있는 평가가 가능합니다. 주가 및 PER 차이를 파악할 때는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고려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해야 합니다.
- 다른 지표와의 함께 활용: PER은 단일 지표로서의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지표들과 함께 활용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PEG 비율, 현금 흐름, 자산 가치 등을 고려하여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의 사항들을 고려하면서 PER을 활용하면,
보다 신뢰성 있는 주식 투자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ER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약하자면, PER은 주식 투자에 있어서
기업의 가치 평가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높은 PER을 가진 주식은 고평가되었거나
기대치가 높다고 판단될 수 있고,
낮은 PER을 가진 주식은 저평가되었거나
기대치가 낮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ER을 활용할 때에는 다른 요소들과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산업 구조와 경쟁 상황도 고려해야 합니다.
기업들이 PER값을 조작하는 방법들
기업은 물건, 또는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돈을 버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일부 기업들은 알맹이 없는 회사를
교묘한 마케팅을 이용해서
투자자들을 현혹시켜
투자하게 하는 방법 역시 자주 사용합니다.
투자자들을 현혹해서 투자를 하게 만들어
회사 주가를 올리고,
본인들은 주식을 팔아 차익을 챙기는 방식입니다.
또는 요즘에는 투자자들이 똑똑해졌다는 것을 알고
재무재표상 교묘한 조작을 통해서
회사의 PER을 조정해 회사가 투자하기에
매우 매력적인 회사로 보이게끔 합니다.
PER을 좋게 보이도록 회계 장부를 조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을 부풀리기
- 비용을 줄이기
- 이익을 미리 인식하기
- 손실을 미리 인식하지 않기
- 자산을 과대평가하기
- 부채를 과소평가하기
이러한 방법으로 PER을 조작하면 주가가 낮아지고,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불법이며,
적발될 경우 큰 처벌을 받게 됩니다.
PER은 투자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지만,
악의적 의도를 가지고 PER이 좋아 보이게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per값 이외에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ER이 낮다고 해서 반드시 투자할 만한
기업은 아니며, PER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투자하지 말아야 할 기업은 아닙니다.
PER값도 그냥 여러 투자 지표중 하나임을
기억하되 맹신해서는 안되는 이유입니다.
per과 다른 요소들을 고려해서 누군가 쓴
글이 있어서 링크를 첨부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