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용법 만 알았을 뿐인데 영어회화를 원어민처럼?
양키가 대화를 하고 있거나
미드를 보거나 혹은 영화를 보면서 영어 공부를 하다가
get과 관련된 문장에서 막힌 경험이 있지 않은가?
아니면 영어회화나 영화를 보다보면 멋들어지게
get용법 을 사용하는 꼬마나 아기들을 본적이 있나 모르겠다.
왜 나는 외국 초딩처럼 말을 할 수 없는거야?
도데체 우리나라 사람의 영어 어휘 수준이 미국 유치원생이나
미국 초딩보다 훨씬 더 나으면 나았지, 모자란게 아닌데도
우리가 본토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1학년 보다도 훨씬 못미치는 이유는
바로 이 get과 같은 동사를 제대로 쓸 줄 모르기 때문이라고 확신한다.
get용법 , 유창한 영어회화의 비밀
흔히들 미국 본토 유치원생이나 저학년 미국 초딩이 구사하는 단어는 300-500단어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도 걔네들은 별문제없이
다 의사 소통한다.
(*물론 심각한 경제 토론이나 시사 토론까지는 걔네 들도 무리가 있다.) 일상 회화에서는 깊은 수준의 어휘는 필요 없고
나머지는 자주 쓰이는 몇몇 동사와 전치사의 조합으로 문장을 엄청나게 구성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근데 우리 상황은 평생 본토 유치원이나, 미국 초딩 저학년 만큼 유창하지 못한게 대부분의 현실이다.
Get은 영어에서 정말 어마어마한 존재감을 가진 놈이다. 이 놈을 통해 만들어 지고 파생 되는 문장은 그 수를 다 헤아릴 수 없다.
사용되는 빈도나 활용도에 비해서 시중에 나와있는 책들을 봐도 이 get용법 에 대해서 속시원하게 파헤친 책을 찾기 힘들다.
학원 영어에서도 주로 구어위주가 아닌 문어 위주다 보니 get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을 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보면 당연하다.
get은 주로 구어 위주로 쓰이지 문어나 공식적 문장에서 구어처럼 사용되지는 않는다.
반면 문어속에서도 구어처럼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는 바로 영문 소설이나 수필의 경우이다.
이때는 또 다양한 용법의 get을 확인 할 수 있다.
영어에서는 반드시 확실하게 파헤치고 갈 몇가지 동사(have,put, let..etc)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get이다.
오히려 get에 대해서는 학교같은 공공 교육에서 더욱 잘 배웠었다.
근데 문법으로 get을 접하고 실제 어덯게 쓰는지, 그리고 직접 말을 하면서 적용 할 기회를 놓친 탓에 지금 이 지경이 된것이다.
오늘 Get 너 죽었다, 한번 작정하고 Get 용법 파헤쳐 보자!!!
내 생각에 자주 쓰이는 순서 대로 맘대로 나열했다.
ㅡ 아주 중요(활용도+사용빈도 매우 높음)
ㅡ중요(사용도+사용빈도 높은편)
ㅡ보통(중간에서 중상정도로 사용되는 정도)
<Get>
1. 받다, 얻다
_아주 기본 적인 뜻으로 이걸 모른다면 지금 이페이지에 머물러 있는것 자체가 의미가 없다는걸 알아야 한다.
2.-어떤 상태가 되다
_아마 뭔말인지 잘 감이 안올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그래서 예문을 하나 주면
사람의 경우에 get angry라면 화가난 상태가 된다, 즉 화가 났다
get hungry라면 배가 고픈 상태가 되다, 즉 배고프다. 그럼 이런 생각이 들꺼야. 아니 그럼 그냥 hungry랑 get hungry랑
도데체 뭔차이냐!!!
의미상으론 둘다 배고프다는 뜻으로 통 할 수 있다. 근데 미묘한 늬양스의 차이가 있다. i’m hungry는 나 그냥 배고파라는 뜻이고 I get hungry는
멀쩡하다가 배가 고파진 상태를 말하는 거다. 물론 문맥상으로는 어떤것을 써도 상관없지만 이런 미묘한 늬양스의 차이가 있다는걸 알아두길.
그리고 빼먹을 뻔 했는데 사람의 상태 말고도 사물에도 사용 가능하다
do not get your cloth dirty라고 하면 니 옷 더럽히지마 라는 뜻이 된다. get dressed하면 옷을 입은 상태가 되다, 즉 옷입다가 된다.
한가지 더 하겠다. 바로 머리 자르다 인데.
cut my cut이나 cut my hair 써도 말은 통한다. 근데 현지에선 get my hair cut이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수동으로 -을 시키게 한다는 뜻으로 배우는게 사실상 지금 우리가 배우는 바로 이 부분인데, 한국식으로 -이 -을 하는걸 시키다라고 배우니;;; 이걸 도무지 회화에 적용을 할 수가 없는거다.
다리가 부러져서 검사 받다라고 하면 무슨 말이 떠오르는가?
um…leg..x-ray할 껀가?
물론 말은 통한다. 바디 랭기지면 적어도 70%이상의 의도를 전달 할 수 있다.
그치만 우리는 지금 바디 랭기지를 배우는게 아니니까.
get my leg examined라고 하면 된다. 물론 수동의 문법적으로도 설명이 된다.
3.-해야된다 / -하게 되다 / 기회를 갖다
***해야한다
_gotta 이녀석도 get to의 줄임말인데 영어로-해야 한다.라는 뜻이다. 아마 이거 모르는 사람은 없을꺼라고 생각한다. 영어 일짜무식쟁이도
gotta는 아니까.
다만 여기서 언급하는 이유는 앞에 나온 get to의 줄임말로 gotta를 쓰긴해도 구어체 상에서는 -해야한다는 뜻으로 썼는지 아니면 나머지의 뜻으로
썼는지는 오로지 문맥속에서 파악을 해야 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그래서 힘들어도 저런 다 양한 용례를 최대한 자주 접하면서
익숙해 져야만 한다.
**-하게 되다
_이건 단독으로 get만 쓰는게 아니라 get to+동사 일때 -하게 되다 라는 뜻으로 쓰인다. 미드 보면 종종 쓰이는 말이다.
아마 이것때문에 머리 싸매고 고민했을 친구들 많았을 꺼라고 본다. 분명 자막에는 단순히 -했어라고 나오는데 도데체 이 망할놈의 get to는
어덯게 쓰인거지????
바로 이렇게 쓰인거다. -I get to know 알게 되었다.
I get to start 시작하게 되었다. 바로 이런식으로 쓰인다.
*뿐만 아니라 -한 기회를 갖다라는 뜻도 있다.
4. 도착하다
_get there/here 거기에 / 여기에 도착했어 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고
get to를 써서 직접 지명을 붙여도 무방하다.
5. 데려오다
_ get mathi 하면 마티 데려와 뜻이다. take..같은 단어 생각 날테지만 이제부턴 get을 생각하자.
6. -하기 시작하다
_get+ing 아마 토익 공부 좀 했으면 한번 쯤 봤을 꺼라고 생각 한다. get은 동사와 붙어 -하기 시작하다 라는 뜻도 있다.
she came to me, suddenly got crying 그녀가 내게 와서 갑자기 울기 시작 했어 라는 뜻이다.
7. 방송 수신하다.
_we can’t get cha 6 in pusan 부산에선 6번이 안 나와 란 뜻이다.
***오늘은 일단 요정도로 마무리 하겠다.
이정도만 소화 할려고 해도 벌써 머리가 터 질 것같이 아플테니 말이다.
힘들겠지만 제대로 숙지하면 하루만에 영어 실력 한등급은 그냥 올린거다.
난 지금 뻥치는게 아니다. 당신의 입에서 get이 텨나오는 순간부터 어중간한 그저그런 영어 문장 만을 말하면서 영어 좀 한다고 깝치는 사람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임은 자명 한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