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제 계산법 | 의미 (49재 계산기로 확인)
최근 이태원에서 일어난
사고 때문에 나라가
슬픔에 잠겼는데요
그 중에 49제가 같이 화제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49제 계산법
그리고 49제는 도데체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49제 의미 , 뜻 , 유래
49제일을 계산하려면
일단 49제가 뭔지는 알아야 하겠죠?
간단하게 먼저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49재의 기원은
불교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돌아가신 분의 명복을 빌기 위해
고인이 돌아가신 날부터 7일마다
7회에 걸쳐 행하는 불교의식입니다.
고인이 돌아가신 날부터 1주일(7일)마다
7번씩 지내는 제를 지내는데
그중에 마지막 재(7번째)를
되는 날이 49제입니다.
여기서 주의 해야 할 점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포함시켜야 합니다.
고인이 돌아가신 다음날부터
계산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원칙적으로는 고인 돌아가신 날을
포함시켜야 정확하게
49재 계산 가능하다는 점
유의해야 합니다.
7일마다 7번을 지내면 49날이 되지요
불교에서는 사람이 사망하고
49일 째 되는 날 염라대왕의 심판을 받아
다음 생이 어떻게 될지
결정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49번째 심판 받는 날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가 있는 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는 49제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었습니다.
그럼 여기서 잠깐!
만약 천국에 간다면 굳이 49일을
기다릴 필요 없이
바로 천국으로 가는 걸까요?
그건또 아니라네요.
먼저 돌아가신 부모님께
마지막 인사를 드린 뒤에야
비로소 천국으로 갈 수 있다고 합니다.
49제 계산법
49제는 방금 전 49제 의미 설명 때
언급 드렸다시피
사람이 돌아가신 날부터
49일째 되는 날을 말합니다.
따라서 49제계산법 중에서 일반인이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49제계산법 = 고인 돌아가신날을 기준으로 7주차가 되는 날(일) –1
헷깔리신다면
아래에 49제 계산기 링크로 가셔서
고인의 돌아가신 날자짜를 넣으시면
바로 49제 일을 계산해서 알려줍니다.
가장 쉬운 계산법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사망진단서의 사망일자)부터
7주 가 되는 날에서 하루를 빼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지인이 이번주 수요일날 돌아가셨다 (1주차 , 돌아가신주)
그러면 그 다음주 수요일 날이
초재일이고(2주차)
그 다음주 수요일은 3주차 , 2재일
또 그 다음주 수요일은 4주차 , 3재일
이런식으로 쭉 가다가
7주차 수요일에서 하루를 빼니
7주차 화요일이 49제일이 되는 것입니다
49제 비용
49제 비용은 49재가 있는
7번의 재 중에서
몇번의 재를 드리느냐 따라서 달라집니다
그러나 요즘 같이 바쁜 시기에
2달에 걸쳐서 7번의 재를
모두 지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부분 초재와 49제만 지내거나
아니면 49재만 드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49재의 7주간 7번의 재를
모두 드리게 되면
대략 500만원에서 6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며 초재와 마지막 49재만
드릴 경우에는 대략 300만원
49재만 드릴경우
250만원의 비용이 듭니다.
49제 ? 49재 ?
헷깔리시는 분들이 많아
참고로 알려드립니다.
사실 저도 잘못알고 있었습니다.
49재가 맞는건지 49제가 맞는 건지.
확인해 본 결과 사실
49제는 틀린 말이고 정확한 표현은
아와 이가 붙은 재,
즉 49재가 맞다고 합니다.
그런데 일상 생활속에선
49제를 글로 쓸 일이 없고
그냥 입으로만 자주 말하다 보니
사람들이 많이 헷깔리는 것이지요.
요즘에는 49재 날짜에 제사를
지낸 후 탈상을 많이 하십니다.
사실 불교에서 전해진 의식이다 보니
불교를 종교로 믿어 오신 분들은
49제에 대해서 비교적 잘 아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렇지 않은 분들은 49제 의미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확한 의미는 몰라도 ,
아시는 분들이 돌아가시면 의례 하는
장례 절차중 하나쯤으로들
많이 알고 계시지요
따라서 요즘에는 49제를
종교 의식이라기 보다는
장례의 마지막 절차단계로
많이들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자, 지금까지 49제 계산법 의미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댓글 , sns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