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5초만에 해결)
개별공시지가 많이들 들어보셨죠?
아마 몇년사이에 땅값 집값이 많이 오르면서 , 더더욱 이 개별공시지가에 관한 관심이 커졌는데요.
개별공시지가 와 세금이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거 알고 계신가요?
지금부터 개별공시지가 란 무엇인지.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개별공시지가 중요하나 이유.
기타 개별공시지가와 관련된 모든 것을 초딩도 이해할 수 있게 쉽고 빠르게
한방에 다 정리해서 설명드릴게요
개별공시지가 뭐길래?
개별공시지가가 뭘까요?
우선 사전을 찾아보면
“표준지공시지가로 산정한 개별토지의 단위면적당 가격.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개별토지에 대한 단위면적당(원/㎡) 가격이다. 국토교통부장관이 매년 공시하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시장·군수·구청장 등이 조사하여 산정한 공시지가로, 토지의 특성조사와 표준지 선정여부로 결정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어떠세요? 쉽게 이해가 가시나요?ㅎㅎ
저는 개별공시지가가 뭔지 알지만 , 저 글을 보니 도로 머리가 아파오네요.
쉽게 말해서 개별공시지가 라고 하는 것은
개별공시지가란 개인이 소유한 땅의 단위면적당 가격을 말하는 겁니다.
근데 이 개별공시지가 를 결정하려면 그 금액을 결정할 수 있는 기준 가격이 있어야 하잖아요.
바로 개별공시지가를 결정하기 위해서 기준이 되는 공시지가를 표준공시지가 라고 해요.
각 지역별로 그 지역을 대표하는 땅이 있는데 , 이를 표준지라고 해요.
그 표준지을 기준으로 가격을 매기게 되는데 , 그 표준지의 가격을 표준공시지가라고
해요. 이 표준공시지가는 국토부장관이 조사, 평가해서 그 가격을 매기게 돼요.
물론, 그 가격을 국토부장관이 막 돌아다니면서 직접 계산해서 값을 매기는건 아니구요.
그런일을 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흔히들 감평사 , 감정평가사 들이 그 일을 용역받아 대신 가격을 기준에 의해서 책정해 주게 됩니다.
각 공시가격 공시 기간이 있기때문에, 그 기간에 맞게 감정평가사들도 땅값을
감정하러 다니는 기간이 있습니다.
보통은 매년 9월에 시작해서 다음년도 2월까지 약 6달동안 토지 평가를 하게 됩니다.
그 기준땅의 가격을 기준으로 , 위치 , 용도별로 더 좋으면 더 높은 개별공시지가 를 받고
안 좋은 땅이면 더 낮은 개별공시지가를 받는거에요.
다만, 이 가격은 나라에서 정하는 가격이라, 실제 거래되는 실거래가 하고는 차이가 좀 있구요
개별 공시지가를 메기는 이유
우리가 실제로 거래하는 가격, 즉 실거래 가격은 땅주인과 브로커 (부동산 업자)
그리고 땅을 사려는 사람에 의해서 수요-공급 법칙에 의해서 결정이 되자나요.
그런데 그사람들이 전부 짜고 가격을 막 올리수도 있고, 내릴수도 있자나요.
나라에서는 각 땅에대한 객관적인 가격 데이터가 있어야 그걸 바탕으로
각종 세금(양도소득세 , 상속세 , 종합토지세 , 취득세 ,등록세)을 매길수가 있는데
그걸 시가로 결정하면 시장이 많이 혼란스러워 지겠죠?
그래서 나라에서 세금을 매기기 위한 기준 금액을 잡기 위해서 공시지가 라는 개념을 도입하게 된거에요.
공시지가 한줄 결론 : 나라에서 세금을 걷기 위해서 정하는 기준으로 하기 위한 가격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자, 그럼 이제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봐야 하겠죠?
네이버 검색창에 가셔서
“개별공시지가 조회” 라고 검색창에 치시면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라고 치셔도 돼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라고 바로 아래 그림처럼
창 가장 첫번째 뜰꺼에요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아래 화면처럼 나올텐데 , 잘 살펴보시면
상단쪽에 5개 메뉴 보이세요?
[공동주택공시가격] ,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 [개별단독주책 공시가격] , [표준지 공시지가] , [개별공시지가]
잘 안보이신다구요? 아래 그림을 참조해 주세요
자, 이제는 확실하게 보이시죠? 개별공시지가 ㅎㅎ
저기를 누르고 들어가면 됩니다. 무지 쉽죠?
일단 2021 개별공시지가 조회 하려고 사이트에 접속하기만 해도 80%는 끝난거에요
들어가면 조회할 개별공시지가 지역표가 보이실꺼에요.
(아래 그림 참조)
저는 서울이니까 서울을 한번 클릭해서 들어가 보겠습니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도 , 충청북도,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다양하네요
자, 이제 보시면 이제 지번 검색창이 나오는데요.
저는 서울 사람이니까 서울특별시로 한번 진행해 볼게요
서울특별시를 누르면 , 아래 그림 같은 화면으로 바뀌게 돼요
근데 , 주의 하실점이 하나 있어요.
지번검색때는 검색방법이 (구)지번검색 방법과 도로명 주소검색 방법이 있어요.
개별공시지가 조회 사이트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에서는
지번검색 방법이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어요.
그걸 모르고 혹시 도로명 주소를 넣으시면 검색이 안되시는 점 참고 하세요
*요거 헷깔리시면 아무리 주소 조회 해도 공시지가 조회가 불가능하시니까
혹시 구주소 , 도로명 주소 찾는 법을 모르신다면 여기 에 가시면 찾을 수 있어요.
저는 지번주소보다 도로명 주소로 찾는게 편해서 도로명 주소로 바꾸어서 검색해봤어요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를 위해서
주소명을 넣고 검색을 하면 아래 그림같은 경고 창이 하나 뜨는데요
그냥 “무시하고 보내기”
누르고 진행하시면 됩니당.
그러면 이제 나의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가격이 나오게 됩니다.
짜잔 , 요즘 핫한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한 동네의 표준공시지가는 약 1500만원 정도네요
자, 이상으로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하는방법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