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즈 번역 사이트 Hello-e1.com (내 독해 실력은? )
나는 왜 뉴욕타임즈 번역 하게 되었나
한 때 나도 영어를 공부하면서 정말 산같이 느껴졌던 분야가 2가지가 있었다.
바로, 영문원서 전공서적과 뉴욕타임즈 번역 (NYT) 같은 영자신문을 자연스럽게 술술 읽고 싶다는 그런 욕망이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뉴욕타임즈 번역 영어공부 방법은 당시에도 영어 공부좀 한다는 친구들 사이에선
핫한 방법이었지만, 도무지 읽을 실력이 되지 않는 나에게는 그야말로 그림의 떡이었다.
이럴때 원서 그대로 보면서 뉴욕타임즈 번역 사이트 같은 곳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그런 자료를 제공하는 곳은 거의 없었다.
유학 대신 뉴욕타임즈 독학으로 결정
우리집은 가난한 편은 아니었지만
어학연수 무용론에 거의 확신에 가까운 생각을 가지고 있는
아버지와 엄마에게 유학을 보내 달라고 설득할 자신이 없었다.
누구보다 영어를 잘하고 싶었지만, 이끌어줄 맨토가 있는것도 아니었다.
내가 뉴욕타임즈를 읽고 싶다고 생각한건 단순히 공부만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
거기에 가면 정말 다양하고 재미있는 주제의 글들이 많았다.
나는 사업과 비지니스에 관심이 많았는데
포브스나 뉴욕타임즈 에 소개되는 성공이면의 숨겨진 이야기들이나
커버 스토리는 제목만으로도 나를 설레게 하기 충분했다.
안타까웠던 것은 읽고는 싶은데, 읽은 능력이 안된다는 점이었다.
아무리 사전을 찾아 봐도 문장을 이리저리 맞추려고 해봐도
도무지, 문장이 들어오지 않고 머릿속은 복잡해져 가기만 했다.
정말, 절망적인 순간들이었다.
뉴욕타임즈 번역 독학 해보기
그래서 안 읽히는 문장 100개를 추려서 , 읽히든 안 읽히든 그냥 계속 읽었다.
신기하게 내가 독해에 눈을 뜨기 시작한건 그 무식한 짓거리를 시작한지 딱 5개월정도를 했을때 부터 였다.
그때 부터 조금씩 전공서, 소설, 신문 등을 읽을 수 있게 되었고
시간이 흐른 뒤어는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영어를 읽을 수 있게 되었다.
뉴욕타임즈 번역 사이트 , 단순 해석이 아닌 해설의 필요성
단어만 주면 해석이 가능한 문장은
번역이라고 보기 힘들다.
그건 문장이라기 보다는 , 그냥 단어의 나열이라고 보는 편이 맞다.
세상에 그렇게 편한 문장만 있다면 , 세상에 번역가는 필요 없을 것이다.
단어는 다 알지만 , 해석이 헷깔리거나 해석이 꼬이는 문장들이 있다.
바로 이런 문장들이 영어실력 향상을 원하는 사람들이 읽고 연습해 봐야 할 문장들이다.
뉴욕타임즈 번역 , 영어공부 하기에 최고의 재료
개인 독학으로 하기에도 뉴욕타임즈 번역 은 아주 좋은 재료이다.
영자신문 , 특히 뉴욕타임즈 는 문체가 깔끔하고 다양한 주제들을 적당한 깊이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오래전부터 뉴욕타임즈 번역 영어공부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도전해 왔지만
안타깝게도 단순 번역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혼자 공부하는 사람은 답답함을 느끼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단순 번역 해석 뿐만이 아니라 자세한 한글 해설이 있는 자료가 있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아쉬움이 항상 있었다.
그래서 기왕 영어블로그를 운영하는 김에
이번기회를 통해서 직접 뉴욕타임즈를 번연 해 봄으로서 독학으로 영어공부 하는 사람들에게
조그만 희망이라도 되었으면 해서 시작하게 되었다.
뉴욕타임즈 번역 되나 한번 테스트 해보자
세월이 흐르고 이제는 구글에서 한글보다 영문검색이 익숙해지고
한글 자막대신 영문자막으로 영상을 보고 있어보면 그때 막막하고 고생했던 기억들이 떠오르곤 한다.
우리나라에만 수많은 영어독학자들과 어제 시작했다가 또 오늘 좌절하는 수많은
나같은 학습자들을 위해서
모자르지만 내가 가진 능력으로 조금이나마 뉴욕타임즈로 영어공부 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뉴욕타임즈 번역 및 해설을 시작해 보려고 한다.
페이스북에 대한 기사 중 일부를 발췌한 것인데, 번역에 필요한 소스들은 미리 제공할 예정이다.
사전에서 뜻을 찾아 문장에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도 실력이지만,
그보단 문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하기에 , 해석에 필요한 단어들에 대한 소스는 미리 제공한다.
Late last year, Facebook halted acquisition talks with Houseparty, a video-focused social network in Silicon Valley, for fear of inciting antitrust concerns, according to two people with knowledge of the discussions. Acquiring another social network after Facebook was already such a dominant player in that market was too risky, said the people, who spoke on the condition they not be identified because the discussions were confidential.
- halt : 중단하다
- acquisition talk : 인수논의
- incite : 선동하다
- antitrust : 독점금지의
- dominant : 유력한
- identified : 확인된
- confidential : 기밀의
이정도의 뉴욕타임즈 문장을 무리없이 읽을 수 있다면 , 사전만 있다면 어떤 기사든지
크게 무리없이 영문 서적이나 자료를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못읽어도 괜찮다.
좌절할 필요 없이, 이제부터 천천히 실력을 키우면 된다.
(* 한글 번역은 아래로 내려가면 확인 할 수 있다.)
How Facebook Is Changing to Deal With Scrutiny of Its Power
뉴욕타임즈 번역 실전-(페이스북은 수뇌부 조사건을 다루기 위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SAN FRANCISCO — Senator Elizabeth Warren has called for the breakup of big tech companies like Facebook. Regulators have opened investigations into Facebook’s power in social networking. Even one of Facebook’s own founders has laid out a case for why the company needs to be split up.
* call for : ~을 요구하다
breakup : 분해, 해산
open : 개시하다
lay out : 제시하다
case : 사례
split up : 쪼개지다
자, 이 문단은 사실 제시한 근거만 알면, 별로 해석하기 어렵지 않은 문장이다. 천천히 뜯어보면
Senator Elizabeth Warren has called for the breakup of big tech companies like Facebook.
Senator Elizabeth Warren 는 사람이름이다. 고유명사는 맨 앞자리가 대문자다,
가끔 해석하면서 이 대문자를 못보고 그냥 동사라고 생각해서
해석할 때 혼동을 겪는 일이 있는데 고유명사는 무조건 대명사다.
문장을 쪼개면 이렇게 하면 된다.
(1) Senator Elizabeth Warren has called for // (2) the breakup of big tech companies // like Facebook.
상원의원 엘리자베스는 요구했다 (뭘 요구했냐면) // 큰 기업들의 쪼갬을 // 페이스북 같은
이라고 해석이 된다.
has 현재 완료를 위해서 나온 것이다. 현재완료가 어렵다면 그냥 무시해도 좋다.
조금, 부드럽게 의역하면 ” 상원의원인 엘리자베스는 페이스북같은 큰 기업들을 쪼개어 나눌 것을 요구 했다” 이렇게 해석이 된다.
뉴욕타임즈 번역이 너무 어렵다고? 조금 어려우면 천천히 해도 괜찮다.
의역을 하면 해석이 조금 앞뒤로 왔다갔다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한글과 영어가 근본적으로 문장의 어순이 다르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원리를 알고 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조 할 것
(링크 : “한국어와 영어가 근본적으로 다른 이유( feat . 영어와 한글이 1:1 대응이 될 수 없는 이유) “ )
다음 문장에서
Regulators have opened investigations into Facebook’s power in social networking.
Regulator : (기계가 주어면) 조절장치
기계가 주어가 아니면 정부규제기관
역시나 문장을 나누면 이렇게 나누면 된다.
(1) Regulators have opened investigations // (2) into Facebook’s power // in social networking.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바로 open 이다. 우리가 흔히아는 열다 라는 의미 말고,
시작하다 라는 뜻이 있다. 따라서 1번은 직역하면 해석이 다음과 같다.
정부기관은 조사를 시작했다 // 페이스북 영향력에 대한 // 소셜 네트워크 업계에서
여기서 into 는 보통 ~안으로 라고 사전에 나와있지만
여기선 ” ~에 대한 “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부드럽다.
in 역시 “~에 ” 라고 해석하는 것이 가장 쉬운 번역법이다.
즉, 의역하면 ” 정부기관은 소셜 네트워크 업계에서 페이스북의 영향력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라는 뜻이 된다.
(1) Even one of Facebook’s own founders has laid out a case for (심지어 페이스북의 창립맴버중 하나였던 사람도 제시했다 사례를(어떤 사례일까?) (2) why the company needs to be split up ( 왜 회사가 쪼개져야 하는지에서 대해서 )
즉, 심지어 페이스북의 창립 맴버 중 한사람도 왜 회사가 쪼개져야 하는지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기도 했다 라는 뜻이다.
(1) Now the world’s biggest social network has started (현재 세상에서 가장 큰 소셜 네트워크 회사는 시작했다) // (2) to modify its behavior (그들의 태도를 바꾸는 쪽으로) // — (3) in both pre-emptive and defensive ways ( 선수를 치는 방식과 방어적인 방식 둘 다) — (4) to deal with those threats(그들에게 닥친 위협을 다루기 위해)
1번은 별로 해석에 어려운 점이 없을 것 같고…
2번에서 to 는 ~하는 이라고 해석하는데
to 뒤에 동사가 나오는 일명 to부정사라고 한다
. 이게 정확히 뭔지 어떤 용법인지 까지는 알필요가 없다.
몰라도 뜻만 알면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그냥 to 다음에 동사가 나오면 to부정사라고 알면 된다.
해석은 보통은 “~하기 위해서 ”라고 많이 한다. 여기선 “~하는” 이라고 해석하는게 부드럽다.
뒤에 modify(바꾸다, 변경하다) 와 같이 붙여서 해석하면 “바꾸는 쪽으로 하는” 이라고 해석 할 수 있다.
꼭 to부정사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싶다면 링크를 한번 참조해 보기 바란다.
(링크 : ” TO 부정사 “ )
in both 라는 건 둘다 라는 뜻이다.
뉴욕타임즈 번역 , 천번째 문단을 마치고 이제 두번째 문단으로 간다.
Late last year, Facebook halted acquisition talks with Houseparty, a video-focused social network in Silicon Valley, for fear of inciting antitrust concerns, according to two people with knowledge of the discussions.
- halt : 중단하다
- acquisition talk : 인수논의
- incite : 선동하다
- antitrust : 독점금지의
문장이 좀 길어보인다. 이럴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역시나 내 눈에 먼저 밟히는 건 세미콜론 부분이다.
보니깐 또 세미콜론 부분이 2개로 보인다.
Late last year, Facebook halted acquisition talks with Houseparty,(1) a video-focused social network in Silicon Valley,(2) for fear of inciting antitrust concerns, according to two people with knowledge of the discussions.
1번 세미콜론은 바로 앞에 있는 Houseparty 라는 놈을 보충 설명해 주기 위한 녀석이다.
어라? 근데 또 보니깐 Houseparty 맨 앞이 대명사네?
단어의 맨 앞이 대명사면 그건 고유명사일 확률이 높으니깐 , 이녀석은 아마도 회사이름일 확률이 높겠네?
그래서 1번 세미콜론을 읽어 봤더니 진짜 회사가 맞았다.
1번 세미콜론에 뭐라고 적혀있길래?
(1) a video-focused social network in Silicon Valley,
바로 이렇게 적혀 있는데 해석하면
” 비디오에 집중하고 있는(video-focused) 소셜 네트워크 화사다. 그것도 실리콘 밸리에 있는 “
자 , 그럼 이제 한번 본문을 읽어볼 차례다.
Late last year, Facebook halted acquisition talks with Houseparty, a video-focused social network in Silicon Valley, for fear of inciting antitrust concerns, according to two people with knowledge of the discussions.
이 문장속에서 본문은 딱 하난데, 그 문장을 본인들이 한번 찾아보길 바란다.
이 문장에서 본문은 딱 하나고 나머진 다 본문을 설명하는 곁가지 문장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수 있어야 한다.
이게 안된다는 것은 , 아직 문장구조가 파악이 안되고 있다는 뜻이므로
복잡한 문장속에서 본문을 찾아내는 연습을 더 많이 해야 된다.
팁을 주면 여러 영문 문장중에서
문장을 다 읽고 해석하려고 하지말고, 복잡한 문장 속에서 진짜 중요한 핵심 문장만 가려내는 연습만 먼저 해보면 된다.
Late last year, Facebook halted acquisition talks with Houseparty, a video-focused social network in Silicon Valley, for fear of inciting antitrust concerns, according to two people with knowledge of the discussions.
이 문장에서 핵심문장은 굵게 볼드 처리된 부분 딱 한문장이다.
- halt : 중단하다.
- acquisition talk : 인수 논의
해석하면 이렇다.
” 작년말, 페이스북은 하우스파티라는 회사에 대한 인수 논의를 중단 했다, “
그 다음에 나오는 세미콜론이 붙은 곁가지 문장을 붙이면 이렇게 된다.
” 작년말, 페이스북은 하우스파티라는 회사에 대한 인수 논의를 중단 했다, 비디오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회사 , 실리콘 밸리에 있는 “
직독직해를 하면 왜 해석이 어색해 질 수 밖에 없는지는
다른 칼럼을 통해서 설명했다.
궁금하면 링크를 참조하길
( 링크 : 직독직해를 하면 해석이 어색해지는 이유 )
직역하다 보니 쬐금 말이 이상해 져서 , 조금 부드럽게 의역을 한스푼 넣고 의역해 보면
” 작년말, 페이스북은 실리콘밸리에 있는 비디오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회사인 하우스파티에 대한 인수 논의를 중단 했다 “
어떤가 ? 조금 복잡해 보여도 뉴욕타임즈 번역 할만하지 않나?
(아니라고?ㅠㅠ)
다시 한번 말하지만, 해석이 되지 않아도 괜찮다.
모르는 부분은 계속 반복해서 읽어봐야 한다.
계속 보다보면 구조가 보인다.
다음문장이다.
Acquiring another social network after Facebook was already such a dominant player in that market was too risky, // said the people, who spoke on the condition they not be identified because the discussions were confidential.
이 문장은 잘 봐두는 것이 좋다.
초보가 보기에는 문장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고 헷깔릴 가능성이 있는 문장이다.
나라면 3개로 일단 나눠보겠다.
(1) Acquiring another social network after Facebook was already such a dominant player in that market was too risky, (2) said the people, who spoke on the condition they not be identified (3) because the discussions were confidential.
이게 절대적인 답은 아니고 그냥, 내가 해석하기 좋으라고 맘대로 자른것이다.
1번부터 해석해 보면
(1) Acquiring another social network after Facebook was already such a dominant player in that market was too risky,
이 문장에서 주의 할 점은 바로 after 앞의 문장과 뒷 문장을 잘 파악해서 연결해 주는 것이다.
1번 문장은 그냥 끝이 아니고 그 안에서 또 나누어진다.
(1) Acquiring another social network [ (2)after Facebook was already such a dominant player in that market ] was too risky,
굵게 볼드 처리된 부분은 처음에 빼고 볼 수 있어야 한다.
그걸 못하면 문장이 꼬여서 해석이 오락가락하다가 스스로 혼란에 빠지게 된다.
동사 다음에 ing 가 붙은 것은 어려운 말로 동명사라고 한다, 해석은 그냥 “~하는 것” 이라고 하면 된다.
” 다른 소셜네트워크 회사를 인수하는 것은 ( ) 굉장히 위험한 것이다. “
여기까지가 땡 ! 끝이다.
이제 가운데 부분만 번역해서 둘을 붙이기만 하면 된다.
[ ] 안의 문장을 2번 문장이라고 하면
” 페이스북은 이미 그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 라는 뜻이다.
그럼 1번 문장과 2번 문장 2개 문장이 있으니까 그걸 하나로 묶어줄 녀석이 필요한데
그게 바로 접속사 after 이다.
after는 이후에 라는 뜻이고, 2번 문장 앞에 있으니 ” 페이스북이 이미 그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난 이후에” 라고 해석이 된다.
따라서 1번과 2번 문장을 합치면
“페이스북이 이미 그 시장에서 그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난 이후에 , 다른 소셜네트워크 회사를 인수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일이다”
라고 해석이 된다.
이상으로 뉴욕타임즈 번역 제 1편을 마치도록 하겠다.
It’s so great that I found the website I ve been looking for. Thanks.
than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