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주소 신주소 변환 방법(5초해결)
오늘은 의외로 여러분들이 많이 헷깔리고 힘들어 하지만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주소 신주소 변환 방법
간단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자 이제 부터 구주소 신주소 변환 할 수 있는 방법
2가지를 소개해 드릴테니 눈 크게 뜨고 잘 따라오세요.
이번 한번만 보면 이제는 구주소 신주소 변환 ,
혹은 신주소 구주소 변환 뭐가 되었든 10초안에 쉽게 찾을수 있게 되실꺼에요.
구주소 신주소 변환 하는법 1
1)도로명찾기 사이트 이용하기
혹시 인터넷에서 직구하거나, 택배 주문할 때
도로명찾기 사이트 한번쯤 이용해보셨나요?
저는 예전에는 거의 매일 이사이트 가서 신주소 조회해봤거든요 ㅎㅎ
바로 이 도로명주소 사이트에 가시면 확인 가능해요
일단, 네이버 검색창에 가셔서 “도로명주소” 라고 쳐 주세요
들어가면 아래 그림과 같은 페이지가 나오겠죠?
하얀 타원형 공간 , 주소 넣는 데다가 구주소를 입력하면 되요
저는 저기에 “강남구 일원동 615” 라는 구주소 지번을 넣어 볼꺼에요
(*주의 구주소 지번 끝에 “호”가 들어가는 지번은 “호”는 빼고 숫자만 넣으세요!!)
구주소를 입력하고 엔터 치면 또 아래 그림같이 나올꺼에요
제가 “강남구 일원동 615 ” 번지 를 쳐넣고 엔터 치니
아래 같이 2가지 주소가 나오네요?
하나는 도로명주소, 즉 신주소 구요 ,
그 아래 나온 지번이라고 써있는 주소가 바로 구주소에요.
이렇게 간단하게 구주소 신주소 변환 이 간단하게 끝이 났네요.
신주소 구주소 변환 하는법
아! 그런데 생각해 보니 저 방법을 약간만 응용하면
신주소 구주소 변환 하는 것도 간단하게 할 수 있겠죠?
신주소를 넣으면 아래 “지번” 이라고 나온 주소
그게 바로 구주소 입니다. 이제는 구주소 신주소 상관 없이
구주소에서 신주소 변환
신주소에서 구주소 변환 어떤 것이든 쉽게 할 수가 있겠네요 ㅎㅎ
그런데 이것보다 더 간단한 두번째 방법이 있어요
구주소 신주소 변환 하는법 2
1) 네이버에서 바로 검색하기
일단 네이버로 가서
다짜고짜 구주소 를 검색합니다
(신주소 구주소 변환시 신주소 검색)
이렇게 검색만 하면 끝이에용 ㅎㅎ
그럼 아까 말했듯이 내가 신주소를 알고 있고,
난 지금 신주소 구주소 변환을 하고 싶다?
그럼 똑같이 네이버 창에다가 다짜고짜 신주소를 넣고 검색합니다.
신주소를 넣고 검색했더니, 이번에는
“지번” 이라고 써 있는 곳에 구주소가 딱 나타나네요?
어때요? 무지 쉽죠?
이렇게 구주소든 신주소든 쉽게 쉽게 변환 할 수 있더라구여
저도 최근에 회사에서 택배를 시킬일이 있어서
주소를 넣으려고 하는데 새로 생긴 도로명 주소로는
지번 검색이 안되서 , 구주소로 찾으려고 하는데
어떻게 바꾸는지 모르겠어서 , 한참을 헤메었어요.
알고나니까 , 아무것도 아닌데 ㅠㅠ
그래서 저같은 분들 생기지 말라고, 빨리 글 써야 겠다
생각했죠 ㅎㅎ
아직도 나이 많은 어르신들은 도로명주소(신주소)보다
예전 구주소를 여전히 더 많이 사용하시더라구요
예전에 쓰던 주소를 요즘에는 도로명 주소라고 많이 바꾸어 쓰잖아요.
찾아보니까 신주로로 빠뀐지 좀 되었네요?
2014년에 시작된 정책인데 , 엊그제 시행한거 같은데
벌써 6년… 아니 7년이 다되가네요.
저도 신주소 구주소 변환 하면서 갑자기 생긴 의문인데
신주소(도로명주소) 는 도데체 뭐고, 왜 생긴 걸까요?
잘 쓰던 구주소 무슨 문제라도?
신주소가 생기고 구주소가 사라지게 된 이유는
동네가 개발이 되면서 , 막 땅을 하나로 뭉치기도 하고 , 또 쪼개지기도 하면서
기존에 있었던, 지번이 굉장히 불규칙해져서 , 그 특유의 규칙성이 깨어진게
그 이유라고 해요.
예전에 우리가 주로 살았던 다가구나, 연립같은 주택의 지번말고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요즘에는 ㅇㅇ동 123번지 같은 지번 대신에
ㅇㅇ동 무지개 아파트 같이 직접적으로 아파트의 상호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대요,
신주소(도로명주소)가 생기게 된 이유
또한 지번이란게 원래는 토지에 매겨지는 정보인데,
한 지번 내에 여러 집이 있었던 경우에(옛날엔 이런 케이스가 많았음) ,
여러집이 한가지 지번으로 공유해서
각가구의 주소를 나타낼수 없는 경우도 많았다고 합니다.
따라서 기존 구주소 의 지번을 가지고 주소를 찾기가 어려움이 많았데요
그래서 기존의 지번 체계인 구주소 에서 신주소 체계로
바꿀 필요성이 계속해서 제기 되다가, 2014년에 전격적으로 시행하게 된거죠
그래서 결국 신주소 는 왜 만들게 되었냐?
기존 구조소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더 편하게 건물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
신주소 (도로명주소) 체계가 막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시행한 것은 아니구요.
이미 다른 선진국에서 잘 시행되고 있는 제도를 가지고 와서
우리나라 체계에 맞게 변형 시킨것이라고 보면 될것 같아요.
제가 기억나는게 스페인, 체코 여행다닐때 지도 찾을때
도로명으로 호텔을 찾았던 기억이 나네요
신 도로 체계는 도로를 기준으로 번호를 붙여서
도로명과 뒤에 나오는 숫자만 알면, 그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 갈 수 있게 되는 거죠.
예전처럼 건물이 헐리거나 땅이 변경되어도
도로명은 그대로 이거나, 도로명이 바뀌면 자연스럽게
도로명 주소도 바뀔테니 혼란스러울 일이 없겠죠?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칠게요~!!
Leave A Comment